• 위험 관리
    • 위험의 구성요소 네가지
      1. 자산
      2. 위협
      3. 취약성
      4. 정보보호 대책
    • 위험관리 과정(순서)
      1. 전략과 계획수립
      2. 위험 구성요소 분석
      3. 위험 평가
      4. 정보보호대책 선정
      5. 구현 계획 수립
    • 위험분석 방법론
      • 베이스라인 접근법
      • 비정형 접근법
      • 상세 위험분석
      • 복합 접근법
    • 위험 처리 전략
      • 위험 수용(acceptance)
        • 위험을 받아들이고 잠재적 손실 비용감수
      • 위험 감소(Risk reduction, mitigation)
        • 위험 감소 대책을 구현
        • 비용 효과 분석을 실시한다. 
          • 정보보호대책 효과 = 원ALE - 대책 구현 후 ALE - 연간 대책 비용. 
          • 양(+)의 효과를 갖는 대책을 택한다. 
      • 위험 회피(Risk avoidance)
        • 위험이 존재하는 프로세스나 사업을 수행하지 않고 포기
      • 위험 전가(Risk transfer)
        • 보험이나 외주등으로 잠재적 비용을 제3자에게 이전하거나 할당
    • 관련 링크